티스토리 뷰
음양오행론에 대한 이전 글에서 다뤘듯 오행을 이루는 다섯 요소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습니다. 물, 불, 나무, 쇠, 흙의 다섯 기운은 서로 균형을 이루며 세상 만물을 형성합니다. 그런데 각 요소들이 항상 균형을 이루기만 하는 것은 아닙니다. 때로는 어느 한쪽이 지나치게 커지거나 작아져서 균형이 깨지기도 합니다.
또한 각 요소는 다른 요소를 생(生)하게 하며, 다른 요소로부터 극(剋)을 당합니다. 생은 상대방이 성장하도록 도와주는 것이며, 극은 상대방이 너무 커지지 않도록 억제하는 것입니다. 그 작용은 모든 오행에게 공평하게 이루어집니다. 이처럼 오행들이 서로 생하고 극하는 관계를 오행의 생극제화라고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중 오행의 상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오행의 상생 개념
한 오행이 다른 오행을 도와주는 것을 생, 즉 '살게 한다'고 합니다. 이 과정에는 일정한 규칙이 존재하며, 무질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다섯 개의 오행이 각각 하나씩 다른 오행을 도우므로, 생극제화에는 다섯 가지의 생이 존재합니다.
그런데 오행의 상생 관계를 살펴보면, 각 요소가 서로서로를 돕는 상생 관계이기보다는 편생 관계에 가깝습니다. 즉, 목은 화를 생하지만 화는 목을 같이 마주 생하지 않습니다. 즉, 목이 일방적으로 화를 생하고. 화는 목의 생을 받기만 합니다. 대신 화는 토를 생하고, 토는 화의 생을 받기만 합니다.
그럼에도 오행의 생극 관계를 '상생상극'이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오행을 각기 떼어 부분만을 보면 편생편극이라는 표현이 맞습니다. 그러나 오행 개념을 전체적으로 바라보면, 생을 한 오행은 결국 다른 오행으로부터 생을 받습니다. 마찬가지로, 극을 한 오행은 다른 오행으로부터 극을 받습니다. 즉, 오행의 상생상극은 개념 전체를 조화롭게 바라보는 동양의 통합적 사고방식에 기반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어서 오행의 상생 개념 다섯 가지를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목생화(木生火)
나무는 자신을 태워 불을 피우므로 나무가 불을 돕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여기에서의 나무는 생물학적인 나무뿐만 아니라 나무의 기운을 함께 의미합니다. 즉, 생물이 생물이 태어나고 자라고 하는 기운, 나아가 생명력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생명력에 기반해 성장을 하게 되면, 어느 시점에 성장을 멈추고 꽃을 피우거나 열매를 맺기 위한 준비를 하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이 성장에서 성숙으로 넘어가는 과정, 바로 목생화인 것입니다.
화생토(火生土)
불은 타고나면 재가 되고, 재는 결국 흙이 됩니다. 따라서 불이 흙을 돕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불은 팽창, 상승, 폭발, 분출하는 속성이 있습니다. 그러다가 어느 지점을 지나고 나면 결국 불씨가 약해지고 한 줌의 재가 됩니다. 흙의 기운은 불이 영원이 타오르지 않도록 어느 시점에서 조절하는 것입니다. 땅은 모든 것을 수용하고 포용하며, 불이 흙을 돕는 과정이자 불이 흙으로 돌아가는 과정이 화생토입니다.
토생금(土生金)
흙이 오랜 세월 굳어지면 바위가 되며, 광물이 되어 금속이 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토의 속성을 가진 사물은 금의 속성을 가진 사물을 발생시키고 조장시킵니다. 흙의 기운이 오랜 세월을 거쳐 금의 기운을 품고 단단함을 이루는 것이 바로 토생금입니다. 식물의 꽃이 지면서 결실을 맺는 과정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금생수(金生水)
차가운 바위에 이슬이 맺히고 바위틈에서 샘물이 솟는 것이 금생수입니다. 수 기운은 수렴하는 기운이고 열을 식히며, 생명체가 부패하지 않도록 합니다. 금의 속성이 물의 속성을 돕는 것, 생명이 탄생할 수 있도록 자리를 마련하는 작용이 금생수입니다.
수생목(水生木)
모든 생명체는 물이 있어야 생명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물은 나무를 키우는 생명수입니다. 이처럼 물의 기운을 지닌 사물은 나무의 기운을 지닌 사물을 돕게 됩니다. 물을 기반으로 새로운 생명이 탄생하고 자라는 과정이 바로 수생목입니다.
오행의 관계를 억지로 외우려 노력할 필요는 없습니다. 오행은 자연의 순환과 이치에서 관찰되는 하나의 자연스러운 패턴입니다. 식물이 성장해 가지가 뻗어나가고,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고, 그 열매가 시들어 땅에 떨어지고, 열매에서 나온 씨가 다시 싹을 틔우는 것과 같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가장 기본적이고 자연스러운 만물의 이치를 인간의 삶에 연관지은 것이 바로 사주 명리학인 것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오행의 생극제화 중 상생을 다뤘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오행의 상극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