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을 공부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고전 서적을 통해 접근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입니다. 학문으로서 명리학이 지니는 특징 중 유구한 역사를 이어오며 축적된 지식과 해석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중에서도 대표적인 명리학 고전으로 손꼽히는 《연해자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명리학 고전, 연해자평 소개 이 책은 중국 남송 시대에 서대승(徐大升)이 쓴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과거 서자평(徐子平)이 정리한 명리학을 계승하기 위해 여러 갈래로 나눠져 있던 사주명리 이론을 집대성했다고 하는데요. 서자평이 쓴 《연해(淵海)》에 후대의 학자들이 주석을 붙인 《연원(淵源)》을 합쳐서 정리했습니다. 두 책에서 중복되는 부분을 삭제하고, 오류를 바로잡고, 간결하게 다시 썼다고 합니다. 특..
우주의 원리와 이치를 다루는 명리학은 공부 양이 방대합니다. 빨리 이치를 깨우치려고 서두르다 보면 중요한 부분을 놓치고 지나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명리학을 정확하게 익히기 위해서는 일정한 단계를 따라 공부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명리학을 공부할 때 참고하면 좋을 공부 순서와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명리학 공부 순서 세상 모든 공부가 그러하듯, 명리학을 익힐 때에도 기초를 탄탄하게 쌓는 것이 좋습니다. 기초를 충분히 익힌 다음에야 중급, 고급 단계로 넘어가는 것을 추천합니다. 기반을 다지지 않은 집은 빠른 속도로 1층, 2층을 지어봤자 금방 무너지기 마련입니다. 명리학 공부에서도 초반에 각종 원리와 용어를 확실하게 익혀두어야 나중에 응용을 잘할 수 있습니다. 가장 먼저, 명리학을 형성하는 기초 ..
사람은 누구나 자신의 운명과 소명에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또한 자아라는 존재를 넘어서는 거대한 우주의 원리와 이치에 호기심을 갖기 마련입니다. 인간이 곧 우주의 압축판인 소우주라는 동양철학의 개념은 우주 만물과 인간이 연관된 존재임을 보여주는 동시에, 인간이 지닌 무한한 잠재력과 가능성을 드러냅니다. 이러한 내용을 온전히 이끌어 내기 위해서 우리는 사주 명리학에 관심을 갖고 공부를 하는 것입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주 명리학을 통해 인간의 삶에서 일어나는 일과 관계를 이해할 수 있고, 문제를 해결하는 지혜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사주 명리학을 공부하는 이유를 살펴보겠습니다. 사주 명리학 공부로 삶의 방향성 제고 갖고 태어난 사주팔자를 통해 삶이 100% 결정된다거나 명리학을 통해 미래를 ..
일제강점기 해방 및 6.25 전쟁을 거친 후 한국에서 본격적인 현대 명리학이 형성되기 시작했습니다. 서양의 근대적 학문들과 병존하기 위해 명리학은 1960년대부터 내적 발전을 꾀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현대 명리학의 형성 과정을 알아보겠습니다. 21세기 현대 명리학의 형성 21세기 들어 현대 명리학은 고전 명리학을 기반으로 하되, 일본과 중국의 명리학 요소를 차용하며 발전했습니다. 가장 눈여겨볼 점은 명리학이 철학적 뿌리를 바탕으로 이론화되었다는 점입니다. 특히 성리학에 대응하는 개념으로서의 명리학이 학문으로서 연구되기 시작했습니다. 두 번째로, 현대에 들어 명리학이 몇몇 대학 내에 전공 학과로 개설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명리학에 관심을 가진 인구가 늘어나면서 각종 해석서와 교재들이 출판되었습니다. 그..
우리나라에 중국의 사주 명리학이 전파된 것은 늦어도 고려시대 말일 것으로 보입니다. 당시 중국 대륙과 한반도 간에는 각종 지식 및 문화 교류가 활발했고, 이 과정에서 지식인들이 들여온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 이전까지는 천체의 움직임을 관측하고 기록해 길흉화복을 예측하는 다른 방법을 사용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조선시대에 초점을 맞춘 한국 명리학 역사를 살펴보겠습니다. 조선 초기 명리학 역사 우리나라 문헌에 남아있는 사주명리학의 최초 기록은 1401년 조선왕조실록입니다. 명리학은 조선 초기부터 국가와 왕실의 대소사에 깊이 관여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본래 조선 건국 전 고려에는 서운관이라는 관청이 있어 천문, 역수, 측후, 각루 등의 일을 담당했습니다. 서운관은 조선 개국 후에도 계속 이어졌고..
요즈음 많은 사람들이 명리학에 관심을 갖고 공부하고 있습니다. 명리학이란 사람이 태어난 연(年), 월(月), 일(日), 시(時)의 네 간지(干支)에 근거해 사람의 길흉화복(吉凶禍福)을 알아보는 학문입니다. 네 개의 간지를 네 개의 기둥이라고 하므로, 사주학이라고도 부릅니다. 명리학에는 우주의 다양한 원리와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포함되므로 공부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그중에서도 이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한 첫 걸음은 바로 중국 명리학의 역사를 아는 것입니다. 고대 명리학의 역사 명리학은 오래전부터 존재해왔고, 그 기원을 알려면 고대로 거슬러 올라가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명리학을 분석하는데 쓰는 십간(十干) 및 십이지(十二支)는 중국 고대의 상(商) 나라 시대부터 나타났습니다. 한나라 시대부터는 하루 24..